Scs Tools 사용하기
목차
- Scs object 추가
- Root Object
- Model Locator
- Collision Locator
- 메테리얼 종류
필요 목록
#0 기본 설정
기본 설정 필요 목록 (클릭시 다운로드로 이동)블렌더 2.9x 버전 이상 (스팀에서 받기)SCS Blender Tools (이하 Scs Tool로 말함)SCS Conversion ToolsConverter Pix WrapperGame Archive Extractor 1. 블렌더 설치- 블
hochul0528.tistory.com
1. Scs object 추가
- Shift + A 누르면 SCS Object 추가 항목이 있습니다.
- Root Object : 모델링 파일을 한곳에 묶에서 내보내기 위한 오브젝트
- Prefab Locator : 맵 수정시 필요한 로케이터 (신호등, 트래픽 규칙, 트래픽 이동 경로, AI 보행자 경로 등)
- Model Locator : 라이트, 악세사리 유닛을 추가하기 위한 로케이터
- Collision Locator : 차량 또는 오브젝트 충돌 기능
이번 강좌에서 사용하지 않는 Prefab Locator를 제외한 나머지만 설명하겠습니다.
2. Root Object
- Root Object는 필요한 모델링만 선택하여 쉬프트 좌클릭으로 넣으면 됩니다.
- Root Object에 들어가지 않은 모델링은 내보내기할때 포함하지 않습니다.
- Root Object로 모든 모델링을 한곳에 모아 출력을 하고 싶으면 Parts와 Variants를 이용하여 원하는 모델링만 출력할 수 있습니다. Parts 및 Variants 이름, 갯수는 자유롭게 추가하실 수 있습니다.
위 이미지를 참고한 Parts 및 Variants 사용 예시
- 1glass와 cabin만 출력하고 싶은 경우 [ Variants에서 1glass와 cab Parts만 선택 ]
- 2glass와 cabin만 출력하고 싶은 경우 [ Variants에서 2glass와 cab Parts만 선택 ]
- chassis만 출력하고 싶은 경우 [ Variants에서 chs Parts만 선택 ]
- Looks는 그냥 default으로 생성하시면 됩니다.
- 추후 Variants는 Def에서 사용됩니다.
3. Model Locator
- 라이트, 악세사리 유닛을 추가하기 위한 로케이터입니다
- 화살표가 보는 방향이 앞이며, 라이트로 볼때 빛이 나가는 방향이라 보시면 됩니다.
- 일반 악세사리 추가를 위해서는 로케이터 이름을 자신이 원하는 이름으로 바꿔주시면 됩니다.
- 라이트를 추가를 위해 Hookup 옆 빈칸을 선택하여 본인이 원하시는 라이트 Hookup를 선택하시면 됩니다.
-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Hookup 리스트
전방 미등 : flare_vehicle : flare.vehicle.parkl
로우빔 : flare_vehicle : flare.vehicle.headl
하이빔 : flare_vehicle : flare.vehicle.high_beam
좌측 방향지시등 : flare_vehicle : flare.vehicle.lblinkerl
우측 방향지시등 : flare_vehicle : flare.vehicle.rblinkerl
후방 미등 : flare_vehicle : flare.vehicle.rearl
브레이크등 : flare_vehicle : flare.vehicle.brakel
후진등 : flare_vehicle : flare.vehicle.reversel
- 만약 라이트 2D 이미지가 보기 싫으시면 아래 Hookup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.
좌측 방향지시등 : flare_vehicle : flare.vehicle.lblinkr_nofl
우측 방향지시등 : flare_vehicle : flare.vehicle.rblinkr_nofl
후방 미등 : flare_vehicle : flare.vehicle.rearl_noflr
브레이크등 : flare_vehicle : flare.vehicle.brakel_noflr
후진등 : flare_vehicle : flare.vehicle.reversl_nofl
- 그 외 용도로 많이 사용되는 Hookup입니다.
차폭등 : flare_vehicle : flare.vehicle.orangel
번호판등 : flare_vehicle : flare.vehicle.whitel
- 실내에서 미러를 보기 위해 외부 미러에 로케이터가 있어야 됩니다.
- 외부 로케이터 이름은 아래와 같이 설정하시면 됩니다.
cam_d : 왼쪽 미러
cam_ds : 왼쪽 보조미러
cam_p : 오른쪽 미러
cam_ps : 오른쪽 보조미러
cam_f : 전방 미러
cam_s : 오른쪽 차선 미러
4. Collision Locator
- 충돌을 위해 필요한 로케이터 입니다.
- 보통 박스를 많이 사용하며 위치 조정은 모델링 위치 조정하듯이 하시면 됩니다.
- 사이즈 조정은 '오브젝트 프로퍼티스'에 가시면 X, Y, Z Dimension으로 가능합니다.
- Locator Centered 클릭시 로케이터 포인트가 가운대로 바뀝니다.
5. 메테리얼 칠하기
- scs 메테리얼은 블렌더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메테리얼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 메테리얼 시스템을 사용합니다.
- 메테리얼 프로퍼티스 > Scs Material > Shader Presets:에서 본인이 원하시는 메테리얼을 선택하시면 됩니다.
- 메테리얼 종류 리스트
기본 메테리얼 : dif.spec
반사 메테리얼 (크롬에 활용) : dif.spec.add.env
라이트 메테리얼 : lamp
실내 버튼 라이트 메테리얼 : dif.lum
유리 메테리얼 : glass
트럭 페인트 : truckpaint
그림자 : shadowonly
AO 메테리얼 : dif.spec_oclu
AO 반사 메테리얼 : dif.spec_oclu.add.env
- 메테리얼 선택후 베이스에서 텍스처를 선택합니다.
- 텍스처 확장자는 tga를 사용하시길 권합니다. (Scs tools 에서 dds 지원 X)
- 텍스처 선택후 맵핑에서 본인이 쓰실 UV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.
- 추가로 원하시는 종류 옵션이 있다면 선택하시면 됩니다.
- scs 메테리얼 옵션 종류 [기본 메테리얼 기준]
- Truckpaint 메테리얼에서 Shadow 선택시 적용이 UV가 적용이 안되니 모델링을 한개 더 복사 하셔서 해당 모델링 메테리얼 옵션을 shadowonly로 해주시기 바랍니다.
tsnmap/tsnmap16 : 노멀맵
tsnmapuv/tsnmap16 : UV 노멀맵
shadow : 그림자
paint : 페인트
a : 투명 배경추가
over : 투명 배경추가
확산 : 색상
반사 : 반사값
- dif.lum 메테리얼 추가 옵션
lvcol : dashboard나 gps 작용을 위한 옵션
Luminance Output : 밝기 (보통 2000정도 사용)
: 켜지는 시간 (보통 10~100정도 사용)
- dif.spec.add.env 메테리얼을 사용하기 전에 material 폴더를 압축 해제한 베이스 폴더에서 모드 베이스 폴더에 복사하세요.
- dif.spec.add.env 메테리얼 추가 옵션
Env Factor : 크롬 반사값
다음 강좌는 베이스 차량 불러오기 및 모델 내보내기 입니다.
'SCS Software > Modd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4 악세사리 아이템 추가 / 컨버팅 (0) | 2024.06.24 |
---|---|
#3 모델링 가져오기 / 내보내기 (0) | 2024.06.19 |
#1 기본 설정 (1) | 2024.06.19 |
#0 ETS/ATS 모델링 모딩 기초 (1) | 2024.06.19 |